つ⋅⌄⋅)づ⌁⌁도움⌁⌁⋆
2020.08.12_MES 3 본문
< MES 기능 >
- 1) 자원 할당 및 상태
- 2) 세부작업 계획
- 3) 생산 단위 분산
- 4) 문서관리
- 5) 데이터 수집
- 6) 인력관리
- 7) 공정 관리
- 8) 품질 관리
- 9) 유지 보수 관리
- 10) 제품 추적 및 이력관리
PL법( 제조물책임법 ) : 제조물의 결함으로 발생한 손해에 대한 제조업자 등의 손해배상책임을 규정함으로써 피해자 보호를 도모하고 국민생활의 안전 향상과 국민경제의 건전한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
- 원부자재나 재공 재고, LOT 정보를 생성하고 저장하는 등 관리하는 기능
** LOT ( 제품 생산을 위한 원부자재 구성 체계 )
: 생산관리에서 생산활동을 위해서 작업지시서를 발생하면서 사용하는 고유번호를 1 LOT이라고 한다.
LOT이 중요한 이유는 모든 공정단위가 LOT단위로 움직여진다(LOT단위로 모니터링된다) = ex) like 주민등록번호
논리적으로는 떨어져있으나 물리적으로는 한덩어리로 다니는 것을 의미
LOT의 관리는 첫공정에서부터 둘, 셋 ...공정으로 갈때의 모습을 확인하는 것
POP는 LOT관리가 밑에서 하나의 LOT만 확인되서 관리가 어렵지만
MES는 LOT관리가 처음부터 끝까지의 과정을 관리하기때문에 LOT관리가 훨씬 수월하다.
- 11) 성능 분석
lead time : 상품의 주문일시와 인도일시 사이에 경과된 시간
tack time : 요구하는 생산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제품 하나를 생산하는데 필요한 시간
< MES의 필요성 >
** 제 3의 이익
1. 리드타임의 삭감 - 공장 자동화에 의한 작업시간 감소
- 공정 스케쥴링을 통한 체류시간 감소
2. 제공품의 삭감 - Tack Time 조정
- 공정계획에 실시간 반영하여 공정 리스케쥴링
3. 가동율 향상
4. 수율 향상 - 불량 줄이기
- 불량 생산 못하게 중지
5. 보전비 삭감
6. 원가 절감
==> MES 사용하여 관리를 하게되면 생산성이 향상되고 관리 비용 감소 등등 원가절감이 되어 부가가치가 극대화된다
< ROI 분석 >
ROI ( Return On Investment ) : 투자 혹은 비용에 대한 순수익